리액트와 스프링부트

1) vite를 이용한 리액트(v19) 프로젝트 생성

제주도소년 2025. 3. 10. 21:06

리액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 vite를 사용하여 리액트 프로젝트를 생성하고, 스프링부트를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새로 시작하여 최대한 실무적인 관점에서 진행하려고 합니다. 리액트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의존성은 아래와 같습니다.

 

프론트

  • VSCode
  • Node.js (v22.14.0)
  • TypeScript
  • Vite
  • MUI (CSS 라이브러리)
  • Axios (백엔드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)

 

백엔드

- 추후 기술


[리액트 프로젝트 생성 및 의존성 추가]

>  리액트 프로젝트 생성시 필요한 프로그램들은 다른 블로그나 AI를 활용하면 금방 찾으실 수 있습니다. 바로 vite를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의존성을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.

 

가. 프로젝트 생성

npm create vite@latest
  1. 터미널에서 위 명령어를 입력 합니다.
  2. Need to install the following packages: ~~ 라는 메세지가 나오면 y를 눌러 패키지를 설치합니다. 
  3. 프로젝트 명을 적절히 입력하고, 프레임워크는 리액트를 선택하였습니다.
  4. variant 는 자바스크립트가 아닌 타입스크립트를 선택하였습니다.

위 작업을 진행하였으면 해당하는 폴더에 입력한 프로젝트명으로 리액트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. 이제 터미널에서 새로 생성한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하여 아래와 같은 의존성을 추가해 줍니다.

 

나. 의존성 추가

axios 설치

npm install axios

 

MUI 설치

npm install @mui/material @emotion/react @emotion/styled
npm install @mui/icons-material

 

위 과정을 통해 의존성 추가를 완료하였다면 package.json 파일에 의존성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[로컬 환경 확인]

터미널에서 npm run dev 명령어를 입력하면 VITE가 실행되고 로컬 환경이 활성화됩니다.

Local에 해당하는 URL로 접근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성공입니다.

 

다음은 백엔드 프로젝트 구성 전에 Axios를 셋팅하도록 하겠습니다.